맨위로가기

문화 자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화 자본은 피에르 부르디외가 제시한 개념으로, 개인이 사회에서 얻는 문화적 지식, 기술, 가치 등을 의미한다. 이는 경제적 자본, 사회적 자본과 함께 부르디외 사회학의 핵심 개념이며, 개인의 사회적 지위와 성공에 영향을 미친다. 문화 자본은 내재된 자본, 객체화된 자본, 제도화된 자본의 세 가지 형태로 존재하며, 아비투스와 필드와 연결되어 개인의 행동과 사회적 위치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 개념은 교육 불평등, 문화적 취향, 사회적 계층 등 다양한 사회 현상을 분석하는 데 활용되며, 과학자본, 문화 잡식성 등 개념 확장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개념의 모호성, 결정론적 시각, 성별에 대한 관심 부족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본 - 금융자본
    금융자본은 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세 가지 개념으로 정의되며, 기업의 순자산 또는 자본금과 동의어이고, 자본 시장과 금융 시장에서 다양한 형태로 거래되며, 주주와 사채권자의 권리와 이익, 자본 유형, 금융 상품의 역할, 중앙은행 정책, 사회 가치 체계 등과 연결된다.
  • 자본 - 사회 자본
    사회 자본은 개인이나 집단이 사회 관계망을 통해 얻는 유·무형 자원으로, 사회적 관계 변화에 대한 우려에서 출발하여 여러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발전해 왔으며,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영향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 공동체 건설 - 사회 연결망
    사회 연결망 분석은 개인이나 집단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사회적 구조와 행동을 이해하는 학제 간 연구 방법론으로, 다양한 이론적 틀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내 위치와 정보 접근의 중요성을 분석하며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공동체 건설 - 미국의 민주주의
    알렉시 드 토크빌의 『미국의 민주주의』는 1830년대 미국 사회에 대한 관찰과 분석을 담은 정치사상 및 사회학의 고전으로, 미국 민주주의의 성공 요인과 잠재적 위험을 탐구하고 미국 사회 전반에 미치는 민주주의의 영향을 다룬다.
  • 인적자원관리 - 구조조정
    구조조정은 기업이나 조직이 경제 환경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사업, 소유, 자본 구조 등을 변경하는 것으로, 효율성 증대와 핵심 사업 집중을 목표로 한다.
  • 인적자원관리 - 인적 자본
    인적 자본은 개인과 집단의 지식, 기술, 능력, 경험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경제 성장의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지만, 인간을 경제적 가치로 환원한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문화 자본
문화 자본
정의
유형구체화된 문화 자본
객관화된 문화 자본
제도화된 문화 자본
개념 창시자피에르 부르디외, 장-클로드 파세롱
특징
설명사회적 지위와 사회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사회 계층사회적 불평등과 계층 이동 연구에 활용됨.
추가 정보
관련 개념사회 자본, 경제 자본
참고 서적구별짓기: 취향의 사회학적 비판
기타음악 연구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됨.
영향문화적 취향과 선호도에 영향을 미침

2. 기원

피에르 부르디외와 장클로드 파세롱은 1977년 저서 《문화 재생산과 사회 재생산》에서 1960년대 프랑스 교육 시스템 내 아동들의 학업 성취도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문화 자본'을 제시했다.[5]

부르디외는 이후 에세이 《자본의 형태》(1985)와 저서 《국가 귀족: 권력장의 엘리트 학교》(1996)에서 이 개념을 더욱 발전시켰다.[5] 그는 이 에세이에서 문화 자본을 경제 자본과 사회 자본이라는 다른 두 가지 자본 범주와 함께 제시한다. 경제적 자본은 경제적 자원(돈, 자산, 재산)에 대한 지배력을 의미하고, 사회적 자본은 상호 친분과 인정의 제도화된 관계의 지속적인 네트워크 소유와 관련된 실질적 및 잠재적 자원을 의미한다.[5]

3. 종류

문화 자본에는 내재된 자본, 객관화된 자본, 제도화된 자본의 세 가지 유형이 있다.[48] 부르디외는 문화자본의 개념을 다음 세 가지 형태로 정리하고 있다.


  • 객체화된 형태의 문화자본: 그림, 피아노와 같은 악기, 책, 골동품, 장서 등 객체화된 형태로 존재하는 문화적 재산이다.
  • 제도화된 형태의 문화자본: 학력, 각종 "자격증", 면허 등 제도가 보장하는 형태의 문화자본이다.
  • 신체화된 형태의 문화자본: 아비투스와 같이 관습, 행동을 만들어내는 여러 성향, 언어 사용법, 행동 방식, 감각, 미적 성향 등이다.

3. 1. 내재된 문화자본

내재된 문화자본은 문화와 전통에 대한 사회화를 통해 의식적으로 획득되고 수동적으로 상속되는 지식이다. 재산과 달리 문화자본은 타인에게 상속할 수 없지만, 일단 획득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람의 아비투스(성격이나 사고방식)에 영향을 미쳐 유사한 문화의 영향을 더 잘 받아들이게 된다. '''언어 문화 자본'''은 언어와 그 관계의 숙달을 의미하며, 사람의 의사소통 및 자기 표현 수단으로 구체화된 문화자본으로서 민족 문화로부터 유래했다.[55]

3. 1. 1. 아비투스와 필드

개인의 문화 자본은 사회적 관계 구조로 구성된 그의 아비투스(내재된 성향)와 필드(사회적 지위)와 연결되어 있다.[8]

사람의 아비투스는 가정과 가정환경에 따라 그 사람에게 주입된 지적 성향으로 구성되며, 그 사람의 성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9][10][11] 한 개인의 아비투스의 사회적 형성은 가족,[12] 사회 계층의 객관적 변화,[13]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다른 사람들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14] 개인의 사회적 위치가 바뀔 때 그 개인의 아비투스 또한 바뀐다.[15]

필드는 사회적 집단들이 존재하는 사회적 공간 안에서 문화 자본이 무엇인지 정립하고 정의하려고 할 때 발생하는 갈등으로 형성되는 사회적 지위의 장소이다. 따라서 사회적 영역에 따라 한 가지 형태의 문화 자본이 동시에 합법적이면서도 불법적일 수도 있다. 그런 식으로, 문화 자본의 일부에 대한 정당화는 임의적일 수도 있고 상징 자본에서 파생될 수도 있다.

3. 2. 객관화된 문화자본

객관화된 문화자본은 그림, 악기, 책, 골동품, 장서와 같이 개인의 재산 형태로 존재하며, 구매 및 판매와 같은 경제적 활동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객관화된 문화자본의 소유는 문화자본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그러나 미술작품과 같은 객관화된 문화자본을 소유하더라도, 이전의 문화 자본에 대한 적절한 개념적, 역사적 이해가 있어야만 그 문화적 의미를 이해하고 소비할 수 있다. 따라서 객관화된 문화자본은 판매자가 구매자에게 작품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경우와 같이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단순한 판매를 통해 전달되지 않는다.[48]

3. 3. 제도화된 문화자본

제도화된 문화자본은 한 개인이 가진 문화자본의 형태로, 학문적 자격이나 전문적 자격과 같이 기관이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것을 말한다. 제도화된 문화자본은 노동 시장에서 가장 큰 사회적 역할을 하는데, 개인의 문화자본을 질적,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제도적 인정은 판매자가 구매자에게 자신의 문화자본을 설명할 때 발견적 역할을 하여 문화자본을 경제자본으로 바꾸는 것을 돕는다.[5]

4. 다른 자본과의 관계

피에르 부르디외는 그의 에세이 "자본의 형태"(The Forms of Capital, 1985)와 저서 "국가 귀족: 권력장의 엘리트 학교"(The State Nobility: Élite Schools in the Field of Power, 1996)에서 문화 자본을 경제자본과 사회자본이라는 다른 두 가지 자본 범주와 함께 제시한다. 경제적 자본은 경제적 자원(돈, 자산, 재산)에 대한 지배력을 의미하고, 사회적 자본은 상호 친분과 인정의 제도화된 관계의 지속적인 네트워크 소유와 관련된 실질적 및 잠재적 자원을 의미한다.[5] 문화자본은 경제자본, 사회자본과 함께 부르디외 사회학의 중요한 개념이다. 각 자본은 서로 전환될 수 있는데, 문화자본의 세 가지 형태는 수시로 다른 것으로 전환되기도 한다.


  • * 책으로 둘러싸인 환경에서 자란 아이는 자연스럽게 책을 좋아하게 된다.
  • * 문화자본이 풍부할수록 학교 교육과 친화적이며 학업 성취도가 높아진다.


부르디외는 문화자본, 경제자본, 사회자본 등 여러 자본이 집중되어 상징자본이 구성되고, 그것이 국가자본임을 논하고 있다.[49]

5. 이론적 연구

피에르 부르디외의 문화 자본 개념은 교육 제도와 관련하여 주로 사용되지만, 특별한 경우에는 다른 담론에서도 사용되고 발전되어 왔다. 문화 자본의 이용은 여러 범주로 나눌 수 있다.


  • 이론을 설명 수단으로 탐구하거나 연구의 틀로 사용하는 경우
  • 부르디외의 이론을 바탕으로 구축하거나 확장하는 경우
  • 부르디외의 연구 결과를 반박하거나 대안 이론을 택하여 무시하려는 경우


이러한 연구의 대부분은 교육과 관련하여 부르디외의 이론을 다루고 있으며, 소수만이 사회의 다른 불평등 사례에 그의 이론을 적용한다.

5. 1. 전통적 적용

부르디외의 이론을 탐구하거나 이용하는 연구는 주로 교육적 불평등을 분석하는 데 활용된다. 에미르바이어 & 윌리엄스(2005)는 부르디외의 분야와 자본 개념을 이용하여 사회 서비스 분야, 특히 노숙자 쉼터 분야의 권력 관계를 조사했다.[16] 이들은 동일한 지리적 위치에서 운영되는 두 개의 개별 분야에서 각각 합법적이고 가치 있는 자본의 유형에 대해 이야기한다. 구체적으로 노숙자들이 "직원이 승인한 자본"이나 "고객이 승인한 자본"을 소유할 수 있으며, 그들이 어떤 분야에서 활동하는지에 따라, 그들이 얼마나 바람직하고 바람직하지 않은지를 동시에 보여주며, 가치 있고 가치 없는지를 보여준다고 설명한다.[16] 에미르바이어와 윌리엄스는 직원이 승인한 자본과 고객이 승인한 자본을 문화자본으로 명확하게 정의하지 않았고, 일반적으로 이 두 자본을 구성하는 자원은 가족이 아닌 개인의 삶에서 수집된다고 언급했지만,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이론은 모든 사회적 환경에서 불평등을 분석하는 데 귀중한 이론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5. 2. 확장

많은 저작물들이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이론을 유익한 방향으로 확장하고 있다. 이들은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기보다는 부르디외 이론에서 명시되지 않은 영역을 탐구한다.

몇몇 연구자들은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개념에 새로운 변수를 도입했다. 에미슨과 스윕은 정보기술 능력이 문화 자본의 한 형태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56] 이들은 "정보 시대에 부르주아 기술에 대한 친숙함과 긍정적인 이미지는 이를 소유한 가족들에게 이점을 주는 추가적인 문화 자본의 형태"라고 주장한다. 컴퓨터는 객관화된 문화 자본을 구성하는 기계이며, 이를 사용하는 능력은 구현된 형태의 문화 자본이다.

돌비(2000)는 부르디외의 이론을 사용하여 호주의 다문화와 인종차별을 탐구했다.[57] 하게는 '백인'을 안정적인 특성이 아닌 "사회적 관행의 변화"로 보고, 문화 자본의 한 형태로 간주한다. 그는 국가를 '백인' 호주인 중심부와 '타인' 주변부로 구성된 계층 구조로 개념화했다. 비앵글로인들은 더 높은 지위를 얻기 위해 자신의 민족 문화 자본을 '백인' 문화 자본과 교환하려 한다. 바우더(2006)는 아비투스와 문화 자본 개념을 사용하여 노동 시장과 사회에서 이주자들의 상황을 설명했다.[58]

부르디외의 이론은 현대 문화 자본의 형태를 반영하도록 확장되었다. 아사프 니세바움과 리모어 쉬프만(2017)은 인터넷 밈을 문화 자본의 형태로 볼 수 있는 방법을 분석했다.[59] 이들은 웹사이트 4chan을 활용하여 밈이 표현될 수 있는 다양한 포럼과 매체를 보여주었다. 또한 학자들은 부르디외의 이론을 종교 분야로 확장하여, 문화 자본이 중산층의 종교적 스타일과 취향 개발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5. 2. 1. 교육

폴 디마지오는 "예술, 음악, 문학에 대한 자기보고서를 통해 고등학생들의 문화자본을 측정했다"라며, 문화자본과 교육에 대한 부르디외의 관점을 확장했다.[70]

존 테일러 개토는 자신의 기사 〈학교 반대〉(2003)에서 현대 학교 교육이 문화자본에 따라 학생들을 차별하고 사회적 계층을 유지하도록 기능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알렉산더 잉글리스의 중등교육 원칙을 언급하며, 1820년대 미국 학교 교육이 프러시아 학교 교육과 유사하게 학생들을 과목, 나이, 시험 점수에 따라 나누었다고 지적했다. 잉글리스가 제시한 현대 교육의 6가지 기본 기능 중 3, 4, 5번째 기능은 문화자본과 관련이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기능설명
진단 및 방향 (기능 3)학교는 각 학생의 적절한 사회적 역할을 결정하기 위해 수학적, 일화적 증거를 기록한다.
차별화 (기능 4)학생의 사회적 역할이 결정되면, 역할별로 분류되어 그에 맞는 교육만 받는다.
선택 (기능 5)다윈의 자연선택이론을 "선호 종족"에 적용하여, 학교는 부적격자에게 낮은 성적 등을 부여해 그들의 번식(성적, 경제적, 문화적)을 막는다.



이러한 기능들은 학교 교육을 통해 아이들이 사회 계급에 따라 차별받고, 사회적 역할을 유지하도록 각 계층에 배치됨으로써 문화자본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스탄튼 사라자와 돈버스 (1995)는 학교에서 원하는 유형의 문화자본을 가진 사람들이 이 자본을 사회적 자본으로 전환하여 학교에서의 성공을 이룬다고 연구했다.[60] 두마이스 (2002)는 성별과 사회적 계층이 어떻게 상호작용해 문화자본과는 별도의 혜택을 얻을 수 있는지를 연구했다.[61] 부르디외는 교육 체계에 그의 이론을 적용할 때 성별에 따른 차이점을 명확히 하지 않았다.

5. 2. 2. 문화 잡식성

리처드 A. 피터슨과 A. 심쿠스(1992)는 미국인을 대상으로 한 조사 데이터 분석을 통해 문화 자본 이론을 확장했다.[62] 이들은 고급 예술에서 대중문화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문화적 취향을 가지고 참여하는 미국 상류층을 설명하기 위해 문화 잡식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62]

피터슨(1992)이 이 용어를 만든 것은 심쿠스(1992)와의 연구에서 밝혀진 증거에서 관찰된 이상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였다. 프랑스 학자들이 프랑스 데이터를 이용해 연구한 엘리트-대중 모델과 달리, 이들의 연구는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들이 대중문화 관련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꺼리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63] 이는 20세기 미국과 같은 선진 산업화 사회에서 문화자본 이론의 보편적인 적용을 거부하는 연구 결과였다.[64]

5. 2. 3. 과학자본

영국에서 루이스 아처와 그 동료들은 2015년에 과학자본의 개념을 발전시켰다.[65] 과학자본은 부르디외의 연구, 특히 사회에서 사회적 불평등의 재생산에 초점을 맞춘 그의 연구에서 비롯된다. 과학자본은 아비투스뿐만 아니라 과학과 관련된 문화자본 및 사회적 자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것은 젊은 사람들의 경험이 그들의 과학 정체성과 과학 관련 활동 참여에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영향을 설명한다. 과학자본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의 ASPIRE 연구와 킹스 칼리지 런던의 연구를 포함한다.

과학자본 개념은 이러한 과학 관련 자원, 태도, 열망이 왜 어떤 아이들은 과학을 선호하게 됐는지, 왜 어떤 아이들은 그렇지 않게 됐는지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이 개념은 정책 입안자[66]와 실무자[67]들에게 과학에 대한 젊은 사람들의 참여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유용한 모델을 제공한다.

6. 한국 사회에서의 문화자본

부르디외의 문화 자본 이론은 한국 사회의 교육 불평등과 계층 간 격차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틀을 제공한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교육 불평등 해소를 위한 정책을 마련하면서 문화자본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다.

한국의 교육 현실에서 문화자본은 계층 간 교육 격차를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가정의 경제적 배경에 따라 문화 예술 활동, 여행, 외국어 학습 등 문화자본을 축적할 기회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는 다시 학력과 취업의 격차로 이어져 사회 불평등을 심화시킨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저소득층 학생들을 위한 문화 예술 교육 지원 확대 등을 주장하며 문화자본의 불평등한 분배를 해소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문화자본은 교육뿐만 아니라 취업 시장에서도 영향을 미친다. 특히 문화예술 분야에서는 문화자본이 높은 지원자가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다. 이는 문화자본이 개인의 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을 보여준다.

최근 한국 사회에서는 문화자본의 불평등한 분배가 사회 통합을 저해하고 계층 갈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문화자본이 계층을 재생산하는 도구로 작용할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6. 1. 한국에서의 문화자본 경험적·이론적 연구

한국에서는 문화자본과 사회 계층, 교육 성취, 예술 문화 소비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가타오카 에이미(片岡栄美, Kataoka Eimi)는 사회 계층과 문화적 재생산, 교육 달성 과정에서 가족의 교육 전략, 예술 문화 소비와 상징 자본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50] 미야지마 다카시(宮島喬)(미야지마 다카시), 이시이 요지로(石井洋二郎)(이시이 요지로), 야마모토 데쓰지(山本哲士)(야마모토 데쓰지)는 부르디외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 사회의 문화 권력, 문화 자본 등을 분석했다.[50]

7. 비판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이론은 개념적 명확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68] 이러한 이유로 연구자들은 이 개념을 각기 다른 방식으로 조작화하여 연구 결과 또한 다양하게 나타났다.[34] 일부 연구는 상류층 문화의 특정 부분에만 초점을 맞추어 문화자본을 측정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는데, 이는 부르디외 자신의 연구에도 적용될 수 있는 비판이다. 중산층 문화의 어떤 측면이 교육 체계에서 실제로 가치를 가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문화자본 측정을 정교하게 하려는 여러 연구가 시도되기도 했다.[69][70][71][72]

부르디외의 이론, 특히 하비투스 개념은 결정론적이어서 개별 행위나 개인 의식의 연구에는 적용될 수 없다는 주장도 있다.[73][74] 그러나 부르디외는 "무조건 그 방식으로 해라"라고 주장한 것이 아니라,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시했을 뿐이다. 즉, 부르디외의 연구는 구조와 행위라는 역설적인 이분법을 조화시키려는 시도이다.

존 골드소프와 같은 학자는 부르디외의 접근법을 거부했다. 그는 문화자본의 전달을 사회 재생산의 핵심 과정으로 보는 부르디외의 관점이 잘못되었다고 주장했다.[75] 그 이유는 서로 다른 계급 조건이 부르디외가 가정하는 것처럼 독특하고 지속적인 하비투스 형태를 낳지 않으며, 고급 문화에 대한 접근이 거의 없는 불리한 계층 내에서도 교육을 선호하는 가치가 여전히 우세할 수 있고 관련 문화 자원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학교 및 기타 교육 기관은 재사회화의 중요한 기관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는 "문화 자본"의 창출과 전달에 있어 가족의 영향을 뒷받침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측면에서 보완하거나, 보상하거나, 심지어 반박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40]

부르디외는 성별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다는 비판도 받았다. 칸터는 부르디외의 연구에서 노동시장에서의 성 불평등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41] 그러나 부르디외는 2001년 저서 《부권제》에서 부권제가 상징적 폭력의 가장 좋은 예라고 책의 서론 첫 페이지에서 서술함으로써 남성 지배라는 주제를 정면으로 다루었다.[42]

참조

[1] 서적 An Introduction to Music studie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3] 서적 Cultural capital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4] 서적 The Dictionary of Human Geography
[5] 서적 The Forms of Capital
[6] 서적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ment of Taste Harvard University Press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논문 Bourdieu and Social Work
[17] 논문 Information Technology as Cultural Capital
[18] 논문 Race, National, State: Multiculturalism in Australia
[19] 서적 Labor Movement: How Migration Regulates Labor Markets Oxford University Press
[20] 논문 Religious Tastes and Styles as Markers of Class Belonging https://edoc.unibas.[...]
[21] 논문 Cultural Capital and School Success: The Impact of Status Culture Participation on the Grades of U.S. High School Students https://img.fireden.[...] 2020-07-16
[22] 논문 Social Capital and the Reproduction of Inequality: Information Networks among Mexican-Origin High School Students
[23] 논문 Cultural Capital, Gender, and School Success: The Role of Habitus
[24] 서적 Distinction
[25] 논문 How musical tastes mark occupational status groups
[26] 논문 Understanding Cultural Omnivorousness: Or, the Myth of the Cultural Omnivore http://www.hioa.no/e[...] 2020-07-16
[27] 웹사이트 Omnivores Versus Snobs? Musical Tastes in the United States and France http://www.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2015-04-29
[28] 서적 Cultivating Differences: Symbolic Boundaries and the Making of Inequalit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9] 논문 "Science capital": A conceptual, methodological, and empirical argument for extending bourdieusian notions of capital beyond the arts http://discovery.ucl[...]
[30] 웹사이트 ASPIRES Research https://www.ucl.ac.u[...] University College, London
[31] 웹사이트 Enterprising Science http://www.kcl.ac.uk[...] 2017-05-14
[32] 간행물 Science communication and engagement Eleventh Report of Session 2016–17 https://www.publicat[...] House of Commons Science and Technology Committee
[33] 웹사이트 Wellcome Trust: SET Development 2016 https://wellcome.ac.[...] Wellcome Trust 2017-05-02
[34] 논문 Bourdieu and Education: How Useful is Bourdieu's Theory for Researchers? http://www.cls.ioe.a[...]
[35] 논문 Cultural Capital and Educational Attainment
[36] 서적 Cultural Practices and Socioeconomic Attainment: The Australian Experience Greenwood Press
[37] 저널 Parental Cultural Capital and Educational Attainment in the Netherlands: A Refinement of the Cultural Capital Perspective
[38] Review Review Essay: On Pierre Bourdieu
[39] 저널 Thinking with Bourdieu Against Bourdieu: A 'Practical' Critique of the Habitus
[40] 저널 "Cultural Capital": Some Critical observations https://web.archive.[...] 2014-04-14
[41] 서적 Class Reproduction Among Men and Women in France: Reproduction Theory on its Home Ground Sage Publications
[42] 서적 Masculine Domination https://archive.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43] 웹사이트 http://hyperbourdieu[...]
[44] 웹사이트 http://hyperbourdieu[...]
[45] 서적 The State Nobility -Elite Schools in the Field of Power- https://www.sup.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46] 서적 Education and Cultural Capital Macmillan Press
[47] 웹사이트 https://books.google[...]
[48] 서적 문화資本の経営 ダイヤモンド社
[49] 서적 ブルデュー国家資本論 文化科学高等研究院出版局
[50] 간행물 片岡栄美『大衆文化社会』の文化的再生産 http://terasawat.hat[...]
[51] 서적 An Introduction to Music studie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52] 문서
[53] 서적 Cultural capital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54] 서적 The Dictionary of Human Geography
[55] 문서
[56] 저널 Information Technology as Cultural Capital
[57] 저널 Race, National, State: Multiculturalism in Australia
[58] 서적 Labor Movement: How Migration Regulates Labor Markets Oxford University Press
[59] 저널 Religious Tastes and Styles as Markers of Class Belonging https://edoc.unibas.[...]
[60] 저널 Social Capital and the Reproduction of Inequality: Information Networks among Mexican-Origin High School Students
[61] 저널 Cultural Capital, Gender, and School Success: The Role of Habitus
[62] 저널 Understanding Cultural Omnivorousness: Or, the Myth of the Cultural Omnivore https://web.archive.[...] 2021-06-24
[63] 저널 Omnivores Versus Snobs? Musical Tastes in the United States and France https://web.archive.[...] Princeton University 2015-04-29
[64] 서적 Cultivating Differences: Symbolic Boundaries and the Making of Inequalit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5] 저널 "Science capital": A conceptual, methodological, and empirical argument for extending bourdieusian notions of capital beyond the arts http://discovery.ucl[...] 2015
[66] 서적 Science communication and engagement Eleventh Report of Session 2016–17 https://www.publicat[...] House of Commons Science and Technology Committee
[67] 웹인용 Wellcome Trust: SET Development 2016 https://wellcome.ac.[...] 2017-05-02
[68] 저널 Bourdieu and Education: How Useful is Bourdieu's Theory for Researchers? http://www.cls.ioe.a[...]
[69] 저널 Cultural Capital and Educational Attainment
[70] 저널 Cultural Capital and School Success: The Impact of Status Culture Participation on the Grades of U.S. High School Students https://img.fireden.[...] 2021-06-24
[71] 서적 Cultural Practices and Socioeconomic Attainment: The Australian Experience Greenwood Press
[72] 저널 Parental Cultural Capital and Educational Attainment in the Netherlands: A Refinement of the Cultural Capital Perspective https://archive.org/[...]
[73] 저널 Review Essay: On Pierre Bourdieu https://archive.org/[...]
[74] 저널 Thinking with Bourdieu Against Bourdieu: A 'Practical' Critique of the Habitus
[75] 저널 "Cultural Capital": Some Critical observations http://www.sociologi[...] 2014-04-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